본문 바로가기
Marketing

SNS 광고와 관련된 심리학 연구 - 적극적인 광고 수용과 정보처리

by Fact_Psychology&advertisement 2023. 4. 7.
반응형

심리학을 광고에 적용하기 - 연구 리딩

 

경험적이고 주관적인 데이터만으로 비즈니스를 이끌고 가는 건 감에 의존하여 사업과 마케팅을 운영하는 것과 같다.

현실에는 반드시 Fact가 존재하고 가능한 사실들을 찾아 적용하는 것이 좋다.

많은 연구들을 보고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찾는 것이 좋다.

 

이번 글에선 장면이 SNS이 아니어도 SNS 상에서 소비자가 겪게되는 환경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해보았다.

 

Q. SNS 광고하면 효과가 좋을까?

A. 스스로 여러 가설을 세우고 집행해보는 것 혹은 이미 연구된 내용은 살펴보는 것 중
선택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일반화가 어렵다고 생각한다면,
스스로 해보는 것이 훨씬 비과학적일 수 있다는 점도 알아야한다.

 

이번 논문들은 소비자들이 온라인, 특히 SNS 상에서 많은 정보들을 접하게 될 때, 어떠한 반응들이 생기는 지에 대한 것이다.

SNS는 개인적인 의견을 종합하여 볼 수 있는 공간이다.

어떤 환경요인들이 브랜드, 제품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칠까?

 

요약 : 매우 다양한 정보 안에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접근/회피와 긍정/부정적 정보 설정이 중요. 반드시 하나의 방향으로 제시하려기보다, 명확하게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핵심 정보와 그 정보를 보면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규정후에 광고를 집행하여 A/B 테스트를 진행해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

 

SNS 광고를 하려면 정보를 어떻게 제공하는 것이 좋을까?

Emotional Framing of Health Messages and Its Effect on Persuasion

 

 

이 연구는 정서적 프레이밍이 건강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건강 캠페인을 대상으로 정서적 프레이밍의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긍정적 프레임 (즉, 건강에 대한 이익)과 부정적 프레임 (즉, 건강상의 위험성)을 사용하여 건강 메시지를 작성하였습니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실험 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되었습니다. 연구 참가자들은 건강 캠페인 메시지를 보고 각각의 메시지에 대한 설득력과 전달된 내용을 평가하는 설문 조사를 작성했습니다. 총 29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3가지 실험 그룹으로 나뉘었습니다. 각 그룹은 다른 종류의 건강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연구 결과
연구 결과, 부정적인 정서적 프레임이 긍정적인 정서적 프레임보다 더 높은 설득 효과를 나타냅니다. 즉, 건강상의 위험성에 대한 부정적인 메시지가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보다 더 효과적으로 설득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사점
이 연구는 건강 캠페인에 대한 정서적 프레이밍의 효과를 조사한 최초의 연구 중 하나입니다. 연구 결과는 건강 메시지를 만드는 마케터와 광고주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건강 관련 캠페인을 설계할 때 메시지의 프레이밍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른 분야의 광고 캠페인에서도 프레이밍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광고 설계에 대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SNS는 정보가 많은데, 내 광고에 많은 정보를 주는 게 좋을까?

 

The Effects of Perceived Information Overload and Experience on Online Advertising Effectiveness" by Nadzeya Kalbaska, Rajiv Mehta, and W. Glynn Mangold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2016)

 

이 연구는 인터넷 광고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인터넷 광고의 효과성은 정보 과잉과 경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습니다.

연구 방법
연구자들은 15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설문지에는 인터넷 광고의 효과성, 정보 과잉, 경험 수준 등에 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정보 과잉과 경험 수준이 광고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정보 과잉은 인터넷 광고의 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 과잉이 높아질수록 광고의 효과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둘째, 경험 수준은 광고의 효과성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광고를 자주 접하는 사람일수록 광고의 효과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시사점
이 연구는 정보 과잉이 광고의 효과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습니다. 따라서 광고주는 광고 내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구성하여 정보 과잉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경험 수준이 광고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광고주는 타깃 대상의 경험 수준에 맞는 광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온라인 광고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고 대상자들의 정보 과잉을 방지하고 그들의 경험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왜 유난히 SNS 광고에서는 자극적인 광고가 효과적일까?

Looking at the brain: How consumers process advertising. In The role of language and symbols in promotional strategies and marketing schemes (pp. 85-105). IGI Global.

이 연구는 광고를 소비자가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연구하였다. 광고는 감각적 인식, 의도적 인지, 장기기억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에 대한 세부적인 처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목적

광고 처리과정을 파악하고, 광고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함.


연구방법

실험을 통해 소비자들이 광고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광고 자극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EEG(뇌파)를 사용하였으며, 감각적 인식, 의도적 인지, 장기기억 처리과정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광고 처리과정은 감각적 인식, 의도적 인지, 장기기억으로 나뉘며, 이 과정에서 각기 다른 처리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광고 자극에 대한 강도가 적절할 경우 광고 효과가 높아지며, 뇌파 분석 결과 광고와 관련된 기억이 장기기억에 더 잘 기억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사점: 광고 처리과정을 파악하여 광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며, 광고의 강도와 정보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임을 시사한다. 또한, 광고와 관련된 기억이 장기기억에 더 잘 기억된다는 사실은 광고의 지속적인 노출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Casado-Aranda, L. A., Sánchez-Fernández, J., & Montoro-Ríos, F. J. (2019).

Chen, Y. C., Shang, R. A., & Kao, C. Y. (2009). The effects of information overload on consumers’ subjective state towards buying decision in the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8(1), 48-58.

Nabi, R. L., Gustafson, A., & Jensen, R. (2018). Framing climate change: Exploring the role of emotion in generating advocacy behavior. Science Communication, 40(4), 442-468.

Looking at the brain: How consumers process advertising. In The role of language and symbols in promotional strategies and marketing schemes (pp. 85-105). IGI Global.

728x90
반응형

댓글